본문 바로가기

경상도

남해 금산

2007년4월20일(흐리고 바람강함)

 

남해금산(錦山)의 옛이름은 보광산이었다.금산으로 바뀐데는 한가지 일화가 전해진다. 태조 이성계는 조선왕국을 세울당시 보광산에서

백일기도를 드린후 거사를 도모했고 그 일로 인해 조선을

세울수있었다한다.

이성계는 후일 보광산에 대한 보은의 뜻으로 온 산을 비단으로 감싸주겠다는 약속을 했고 후일 조선을 건국한후 약속을 지키려 했으나 난감했다.

이에 한 총명한 신하가 왕께 충언하며 아뢰길 "큰산을 비단으로 감싼다는것은 나라의 경제가 허락치않고, 비단은 곧 썩게되니 썩지않는

빛나는 이름을 하사하시는것이 좋은듯싶다"했고 

이를 받아드린 이성계는 비단금(錦)자를 내려서 산이름을 금산이라

부르게 했다한다.

 

 창선삼천포대교(달리는 버스안에서)

 

 

 

 복곡주차장옆 복곡저수지

 

 

 한려해상바다가 날씨탓에 좀 흐리게 조망된다.

 

 

 ▲ 상주앞바다

 

 산길을 멀게하기위해 주차장에서 임도를 따라오르다 좌측능선으로

올라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금산으로 향했다.

 

 이곳에서 임도따라오르는길과 만난다

 

 

 

 

 보리암매점과 뒤풍경

 

 이성계가 기도하시던 기도처가 저 아래 보인다.

 

 

 

 

  금산정상석

 

 

 ▲ 정상에서 바라본 보리암

 

 실제정상인 망대가 있는곳

 

 

 

 

 

 

 

 

 

  흔들바위

 

 

 

 상사바위를 배경으로(상사바위전설 - 조선시대 양반집 아내를 사랑했던 하인이 상사병에 걸려 사경을 헤메고 있었다. 이를 가엾이 여긴 양반의 처가 그를 위해 이 바위위에서 그와 정을 나누었다고 하는 신분을

뛰어넘는 에로틱한 전설이 있는곳)

 

 

 일월암

 

 

 ▲ 장군바위

 

 쌍홍문

 

 

 

 

 

 보리암

 

 

 

 

 

 

 

 

 다시 주차장으로..연초록의 나뭇잎이 아름답게 보인다.

 

 설리해수욕장(달리는 버스안에서)

 

 미조항

 

 

 

 미조항앞의 섬을 한바퀴돌며 바라본 풍경

 

 

 

 

한려해상국립공원중 유일하게 산악공원으로 지정된 금산은

남해의 진산으로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찾고있다.

특히 보리암은 기도발이 좋은 우리나라 삼대기도처의 하나이다.

날씨가 흐리고 바람이 세게불어 조망은 시원치않았으나

또 하나의 아름다운 추억으로 오래 간직하고 싶은곳이다.